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동진쎄미켐에 대하여 사업내용을 살펴보고 경쟁자를 포함한 경쟁환경을 조사하여, 동진쎄미켐에 대한 SWOT 및 재무분석을 포스팅하였습니다.
1. 사업 내용
1.1. 기업 개요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용 소재, 산업용 발포제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1967년 설립 이후 PVC 및 고무 발포제를 국산화하면서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수적인 감광액(Photoresist) 및 화학 소재를 국산화하면서 국내 대표 전자재료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소재인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 홈페이지 : 동진쎄미켐의 공식 사이트
1.2. 사업 부문 및 주요 제품
1.2.1.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 감광액(Photoresist) : 반도체·디스플레이 패턴 형성을 위한 필수 화학 소재
- 반사방지막(BARC) : 노광 공정에서 반사율을 조절하는 재료
- SOC(Spin-on-carbon) : 미세회로 공정을 위한 탄소 코팅 소재
- CMP Slurry : 반도체 연마 공정용 화학 소재
- Wet Chemical : 감광층 박리, 식각, 세척 등에 사용되는 화학제품
- Colored Resist, Organic Insulating Layer, Column Spacer : 디스플레이 및 OLED 공정용 소재
1.2.2.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소재
- 연료전지용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전극 촉매 및 전해질 기술 활용
- 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 : 전극 내 전기전도성 향상
- 실리콘 음극재 :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 증가를 위한 차세대 음극재
- 고출력, 고밀도 도전재 슬러리 : 전극 활물질 분산 기술 적용
1.2.3. 산업용 발포제
- PVC 및 고무 발포제 : 건설·자동차·신발·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
- UNICELL 브랜드 발포제 : 글로벌 시장 수출
1.3. 주요 생산시설 및 글로벌 네트워크
- 국내 사업장 : 인천, 발안, 시화, 음성, 예산 공장 운영
- 해외 법인 :
- 중국 : 북경, 성도, 합비, 서안, 중경, 혜주, 복주, 무한 등
- 대만, 스웨덴, 미국 : 전자재료 및 이차전지 소재 시장 대응.
2. 경쟁 환경 및 주요 경쟁사
2.1. 주요 경쟁사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전자재료
- 국내 : SK머티리얼즈, 솔브레인, 한솔케미칼, 이엔에프테크놀로지
- 해외 : 일본 JSR, TOK, 미국 DuPont, 독일 Merck
-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소재
- 국내 : LG화학, SK이노베이션, 솔브레인, 포스코케미칼
- 해외 : 일본 Denka, 미국 Cabot, 중국 BYD
- 산업용 발포제
- 국내 : 효성화학, 금호석유화학
- 해외 : 일본 Kumho Gosei, 미국 Dow Chemical
2.2. 경쟁 환경 분석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황 변동성 증가
- 메모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황에 따라 감광액, CMP Slurry 등의 수요 변동
- OLE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으로 신규 소재 개발 필요
- 이차전지 소재 시장 경쟁 심화
- 전기차 및 ESS(에너지저장장치) 확대에 따라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수요 증가
- 배터리 기업들의 자체 소재 내재화 전략에 따른 위험 존재
-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
- 감광액, CMP Slurry 등 화학 소재 원료(솔벤트, PAC, Resin 등)의 가격 변동 가능성
- 리튬, 니켈 등 배터리 원재료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성 영향
2.3. 향후 일정 및 전략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사업 강화
- 차세대 반도체 및 OLED 소재 연구개발 지속
- 이차전지 소재 시장 확장
-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양산 확대 및 고객사 다변화
- 글로벌 시장 공략
- 미국·유럽 반도체 및 배터리 소재 시장 확대
3. SWOT 분석
3.1. 강점(Strengths)
- 감광액 및 반도체용 화학소재 국산화 성공
- 일본 의존도가 높았던 감광액 국산화 성공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공급
-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BEO, LG디스플레이)에도 납품
-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
-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발포제 등 다양한 산업에 걸친 사업 운영
- 특정 산업 침체 시에도 리스크 분산 가능
- 해외 시장 개척 및 생산 거점 확보
- 중국, 대만, 스웨덴, 미국 등 현지 생산 및 영업망 구축
- 글로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시장 대응 역량 보유
3.2. 약점(Weaknesses)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황에 따른 실적 변동성
- 감광액, CMP Slurry 등 주요 제품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에 의존
- 업황 침체 시 매출 감소 가능성
- 이차전지 소재 시장에서 후발주자
-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등 배터리 소재에서 경쟁사 대비 낮은 점유율
- 연구개발 및 양산 확대 필요
- 원재료 가격 변동 리스크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 화학소재 원가 변동성 존재
- 배터리 소재 원재료(리튬, 니켈, 코발트 등) 가격 상승 가능성
3.3. 기회(Opportunities)
- 미국·유럽 반도체 및 배터리 투자 확대
- 반도체 및 배터리 공급망 강화 정책(미국 IRA법, 유럽 칩법)에 따른 수혜 기대
- 해외 법인 및 생산 거점 활용한 공급망 다변화 가능
- 차세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성장
- GAA 트랜지스터, MicroLED, OLED 시장 성장에 따라 신규 소재 수요 증가
- Wet Chemical, CMP Slurry 등 차세대 공정 대응 필요
- 이차전지 신소재 확대
- 전고체 배터리용 소재, 실리콘 음극재 등 고성능 배터리 소재 수요 증가
3.4. 위협(Threats)
- 글로벌 반도체 경기 침체 위험
- 반도체 수요 감소 시 전자재료 매출 둔화 가능성
- 중국 및 일본 기업들과의 경쟁 심화
- 일본 JSR, TOK 등 감광액 강자 및 중국 소재 업체와 경쟁 가속화
- 환율 변동 및 지정학적 리스크
- 원재료 수입 비용 증가 및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4. 재무분석
5. 정 리
동진쎄미켐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의 강점을 유지하며 배터리 신소재 시장 확장을 통해 지속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