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FST에 대한 대표 이미지

    2025년 7월, 미국 상원이 통과시킨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으로 반도체 세액공제가 25%에서 35%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뿐 아니라, 반도체 장비 및 소재를 공급하는 코스닥 기업 에프에스티(FST) 역시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AI와 HBM 수요 폭증, 그리고 미국 현지 반도체 공장 투자 가속화는 FST와 같은 반도체 서플라이체인 기업의 성장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합니다. 본 글에서는 반도체 투자 정책 변화가 국내 반도체 테마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FST의 재무 전망 및 투자 포인트를 심층적으로 짚어봅니다. 장기적 관점의 가치 투자 또는 단기 이벤트 투자 관점 모두에서 유용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1. 미국 상원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2025년 7월 1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을 통과시키며,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 및 장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기존 25%에서 35%로 확대했습니다. 이는 2022년 제정된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ct)'을 강화한 조치로, 2022년 말 이후 가동을 시작했거나 2026년 말 이전 착공한 시설에 적용됩니다.

     

    • 주요 내용:
      • 세액공제율이 25%에서 35%로 상향, 초안(30%)보다 높은 수치.
      • 법안은 하원 표결을 거쳐 7월 4일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목표로 하며, 통과 가능성이 높음.
      • CHIPS Act에 따라 39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최대 750억 달러의 저리 대출도 포함.
      • 트럼프 대통령의 초기 폐지 주장에도 불구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소득 일자리 창출 기대감으로 유지.
    • 수혜 기업:
      • 글로벌: TSMC, 인텔,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삼성전자: 텍사스주 테일러에 180억 달러(약 25.2조 원) 규모 파운드리 공장, 2026년 가동 목표, 보조금 약 47.5억 달러 예상.
      • SK하이닉스: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7억 달러(약 5.2조 원) HBM 패키징 공장, 2028년 완공 목표.
      • 세액공제 상한선 없음, 대규모 투자 기업에 유리.
    • 영향:
      • 투자 가속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 AI, 자율주행, 5G 수요 대응.
      • 비용 절감: 의회예산처 추산 10년간 150억 달러(약 20.4조 원) 예산 소요, 기존 25% 기준 240억 달러 절감 효과.
      • 한계: 인력 부족, 높은 건설 비용, 미국 기업(인텔, 마이크론)과의 경쟁.

     

    2.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2025년 7월 1일 +1.88% 상승했습니다. 이는 세액공제 확대와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입니다.

     

    • 구성 요소:
      • 엔비디아: AI 칩 선두, 주가 150달러 돌파, 시총 1위 탈환.
      • TSMC: 파운드리 리더, 세액공제 수혜.
      • 인텔: 미국 공장 투자, 정책 수혜.
      • 마이크론: HBM 수요로 3분기 매출 93억 달러, 시장 예상 상회.
      • 기타 상승 종목: 브로드컴, AMD, 퀄컴, ASML,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 코히어런트, 마벨 테크놀로지.
      • 하락 종목: 글로벌파운드리, ON세미컨덕터, NXP세미컨덕터.
    • 상승 요인:
      •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비용 절감 기대.
      • AI, 자율주행, 5G 수요 증가.
      • 이스라엘-이란 휴전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 마이크론의 HBM 매출 급증 등 긍정적 실적 발표.
    • 특성:
      • SOX는 반도체 업황과 미 증시에 민감, 국내 반도체 주가(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높은 상관관계.
      • 변동성 높음, 글로벌 경제 둔화 및 관세 정책 영향.

     

    3. 반도체 테마와 에프에스티(FST)

     

    에프에스티(FST, 079810)는 한국의 코스닥 상장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기업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핵심 장비와 소재를 공급합니다. 미국 세액공제 확대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은 FST와 같은 반도체 장비/소재 기업에 간접적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에프에스티(FST) 개요

     

    • 기업명: 에프에스티 (FST Co., Ltd.)
    • 종목코드: 079810 (코스닥)
    • 시가총액: 약 2,500억 원 (2025년 7월 기준, 변동 가능)
    • 주요 사업:
      • 반도체 장비: 웨이퍼 세정 장비, 테스트 장비, 패키징 장비 등.
      • 반도체 소재: 포토레지스트, 세정액, 기타 화학 소재.
      • 주요 고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 기업.
    • 주요 제품:
      • 웨이퍼 세정 장비: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불순물 제거.
      • 테스트 장비: 반도체 칩의 성능 및 신뢰성 검사.
      • HBM 관련 장비: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공정 지원.

     

    FST와 반도체 테마 관련성

     

    • HBM 수요 증가:
      •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로 HBM 시장이 급성장 중이며, FST는 HBM 생산 공정에 필요한 장비와 소재를 공급. 마이크론의 3분기 HBM 매출 급증(2배 이상)과 SK하이닉스의 HBM 시장 선도는 FST의 수주 확대 가능성을 높임.
      • FST는 SK하이닉스와의 협력을 통해 HBM 패키징 공정 장비 공급에 강점.
    • 미국 세액공제 확대 영향: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미국 내 공장 건설 가속화는 FST의 장비 및 소재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 특히, SK하이닉스의 인디애나 HBM 공장은 FST의 주요 수주 기회.
      • TSMC 등 글로벌 고객의 미국 투자 확대도 FST의 수출 기회 확대.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 SOX 상승은 글로벌 반도체 업황 호조를 반영, FST와 같은 장비/소재 기업의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
      • 국내 반도체 주식(삼성전자, SK하이닉스)과의 높은 상관관계로 FST 주가도 동반 상승 가능.

     

    FST의 재무 및 전망

     

    • 최근 실적 (2025년 기준, 예상치 기반):
      • 매출: 약 3,000억 원 (전년 대비 10~15% 성장 예상).
      • 영업이익률: 약 12~15%, HBM 및 AI 관련 수주 증가로 개선.
      • 주요 성장 동력: HBM 장비, 3D 낸드플래시 관련 장비, 해외 수출 확대.
    • 투자 포인트:
      • HBM 시장 성장: 엔비디아, AMD 등 AI 칩 수요 증가로 HBM 장비 수요 급증.
      • 미국 시장 진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미국 공장 건설로 장비/소재 수요 증가.
      • 기술 경쟁력: 웨이퍼 세정 및 테스트 장비에서 국내외 고객사로부터 기술력 인정.
    • 리스크:
      • 반도체 업황 변동성: 글로벌 경제 둔화,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
      • 경쟁 심화: 글로벌 장비 기업(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 ASML)과의 경쟁.
      • 원자재 가격 상승: 소재 공급망 비용 증가 가능성.

     

    FST 주가 동향

     

    • 2025년 7월 기준, FST 주가는 반도체 테마 강세와 함께 상승세. SOX 지수 +1.88% 상승과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 강세가 긍정적 요인.
    • 단기적으로 HBM 및 AI 관련 수주 발표가 주가 촉매로 작용 가능.
    • 장기적으로 미국 세액공제 확대와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가 지속적 성장 기반.

     

    4. 국내 반도체 테마 관련 기업

     

    FST 외에도 반도체 테마와 관련된 주요 국내 상장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성전자 (005930): 메모리, 파운드리, HBM 리더. 미국 텍사스 공장 수혜.
    • SK하이닉스 (000660): HBM 및 D램 강자, 인디애나 공장 건설.
    • 한미반도체 (042700): HBM 및 테스트 장비, SK하이닉스 협력.
    • 원익IPS (240810):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AI 수요 수혜.
    • DB하이텍 (000990): 아날로그 반도체 파운드리, 자동차/산업용 칩.

     

    5. 투자 고려사항

     

    • 호재:
      • 미국 세액공제 35% 확대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미국 투자 가속화, FST 등 장비/소재 기업에 간접 수혜.
      • AI 및 HBM 수요 급증, SOX 지수 상승으로 반도체 테마 강세.
    • 리스크:
      • 미국 내 인력 부족, 건설 비용 상승.
      • 글로벌 경제 둔화, 관세 정책 불확실성.
      • FST의 경우, 대기업 대비 변동성 높은 코스닥 종목 특성.
    • 전략:
      • FST는 HBM 및 AI 장비 수요로 고성장 가능성, 단기 수주 발표 주목.
      • 안정적 투자 위해 TIGER 반도체 ETF(091230) 또는 KODEX 반도체 ETF(091160) 등 분산 투자 고려.

    참고: 최신 주가 및 재무 정보는 한국거래소(KRX) 또는 네이버 금융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